유격부대전적 위령비
유격부대 전적위령비는 한국전쟁 중 북한지역 곳곳에서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유격작전을 전개하다가 산화하신 유격부대원들의 고귀한 희생과 빛나는 업적을 기리고 그 영령들을 길이 추모하기 위해 국방부 주관하에 1977. 5. 30. 준공하고, 1977. 6. 2. 제막한 비로서 동쪽 순환도로 입구(솔냇길 끝)에 세워져 있다. 비의 중앙에는 유격부대원들의 투쟁 모습을 그린 조각이 있고 조각 위로는 당시 유격 부대원들이 쓰던 것과 같은 철모와 소총이 걸려 있다.
비의 전면 좌측에는 유격부대 약사, 우측에는 비문이 새겨져 있으며, 비의 후면에는 한국 반공유격대 참전부대명이 새겨져 있다. 이 비는 철근콘크리트 골조에 화강석 판석을 붙여 건립했으며 높이 4.2m, 폭 8.4m, 화강석 바닥 면적은 165㎡로 남산미술원 이일영 원장이 설계 제작한 것이다.
<비문>
유 격 부 대 약 사
1. 한국 반공유격대는 한국전쟁과 그 역사를 같이한다.
1950년 6월 25일 북한공산집단이 남침을 개시하자 북한지역 및 38도선 접경지대에 거주하던
많은 청년과 학생들이 지하로 은신 도처에서 반공무장단체를 조직하여 무장봉기를 감행하였
으며 특히 1950년 12월부터53년 7월 휴전시까지 동 서해 연안도시 및 서북지역에서 자유의 의병
으로 유격작전을 전개하였다.
이에 참전한 병력은 무려 4만여명에 달하였으며 이들은 공산군 1개군단 이상을 견제하는
전략적 가치를 지녔었고 1개 사잔 이상에 해당하는 병력 및 장비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는 한편
군사정보 수집, 공수특공작전 조종사구출 및 동 서해 제해권 확보 등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이 부대는 휴전후 국방부 제8250부대로 통합되었다가 1954년 2월 육군부대로 편입되면서
발전적인 해체를 보았다.
2. 영도유격부대는 동해 3도출신 반공청년들을 휴합하여 유격대를 창설, 부산 영도에 본부기지
를 두고 1950년 8월부터 1952년 12월 5일 해체될 때까지 900여명의 대원들이 공중과 해상으로
동해내륙 북부지역에 침투하여 적의 군사시설을 파괴하고 군사정보를 수집 제공하는 한편 반공
애국자를 규합 구출하는 등 적의 군사활동을 젼제하고 후방 치안ㅇ르 교란하는 데 크게 공헌
하였다.
3. 호림 유격부대는 한국전쟁전 육군특수임무부대로 편성되어 북괴의 남침흉계를 사전에 분쇄
한는 임무를 띠고 강원도 북부지역에 침투, 한국 초유의 유격전을 전개하여 절의 군사활동을
견제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한국 전쟁중 자유와 평화를 위해
북한지역 곳곳에서 유격작전을 전개하다가
조국의 수호신으로 산화한 유격부대원들의
고귀한 희생과 빛나는 업적을 기리며
그 영령들을 길이 추모하기 위해
여기에 이 비를 세운다.
연 혁
주관 : 국 방 부
집행 : 국방부 조달본부
지원 : 국립묘지 관리소
제작 : 이 일 영
제막 : 1977. 6. 2.
< 참전부대명 >
1. 한국반공유격대
백령기지 산하
신천(D1) 부대
은율구월(D2) 부대
장연백호(D3) 부대
장연백호(D4) 부대
천마(D5) 부대
송림(D6) 부대
은율수월(D7) 부대
송림호남(D8) 부대
평남(D9) 부대
안악(D10) 부대
옹진학도(D11) 부대
D12 부대
신천(D13) 부대
D14 부대
백마(D15) 부대
D16 부대
송화종호(D21) 부대
봉부대
안용부대
수도부대
천용부대
황해부대
방카부대
월봉부대
강화기지 산하
강화 독립(WP1) 부대
타이거(WP2) 부대
WP3 부대
WP4 부대
WP5 부대
WP6 부대
WP7 부대
WP8 부대
속초기지 산하
아벤리 부대
스롬 부대
토치라이프 부대
커크랜드 부대
활민 부대
덕소공수기지 산하
3 1 부대
남구 부대
번개 부대
호랑이 부대
2. 호림유격부대
3. 영도유격부대
<안내문>
유격부대전적 위령비
이 비는 6·25전쟁 중 자유를 위해 북한지역 곳곳에서 많은 어려움으 무릅쓰고 유격작전을 수해하다가 산화한 유격부대원들의 고귀한 희생과 빛나는 업적을 기리고 그 영령들을 추모하기 위해 1977년 6월 2일 국방부 주관하에 세워졌다.
유격부대는 반공 청년들을 중심으로 규합한 자유의 의병으로서 한국반공유격대의 백령기지 산하 24개 부대, 강화기자 산하 8개부대, 속초기지 산하 5개 부대, 덕소 공수기자 산하 4개 부대와 호림유격부대, 영도유격부대 등이 있었다.
이들 유격부대는 무장봉기, 군사정보수집, 군사시설 파괴 등을 수행하며 적의 후방지역 교란과 군사작전을 전개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비의 전면 좌측에는 유격부애 약사. 우측에는 비문이 새겨져 있고 후면에는 한국반공유격대 참전부대 이름이 새겨져 있다.
'현충원 추모 시설·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도의용군 무명용사탑 (0) | 2013.09.05 |
---|---|
대한독립군 무명용사 위령탑 (0) | 2013.09.05 |
경찰충혼탑 (0) | 2013.08.26 |
함준호장군 현충비 (0) | 2013.08.26 |
육탄 10 용사 현충비 (0) | 201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