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위 환경공정학과
만약 외국의 경우라면 괜찮은 전공일 뿐 아니라 수입과 직장도 나름 안정적인 업계가 환경이다. 경제선진국들은 공업화보다는 환경 보호에 더욱 역점을 두기 때문. 일본, 덴마크 등은 매년 GDP의 3%를 환경 보호에 투자한다. 이러한 국가에서 환경관련 업종은 촉망 받기 마련.
반면 중국 같은 경우는 환경보호사업이 나무 함부로 베지 않기 정도의 초보적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그 규모도 상당히 미미한 수준에 그친다. 이러니 환경관련학과 졸업생 역시 굶어 죽는 수준을 면치 못한다. 그나마 얻을 수 있는 직장은 환경연구원 정도인데, 대우나 연봉도 보잘것 없다.
9위 역학과
합격 커트라인이 해를 거듭하며 내려가고 있는 학과. 역학을 전공하겠다면 우선 매우 내성적인 성격과 수더분한 태도부터 기를 것. 중국에선 아무도 그래프용지, 눈에 보이지도 않는 힘과 씨름하며 한평생을 보내고 싶어하지 않으니까.
8위 중문과(국문과)
웬만한 종합대학에는 다 있는 게 중문과이다. 그러나 정말 연구목적으로 설립된 중문과가 있는 학교는 베이징대와 푸단대, 난징대 정도. 그 밖의 대학들은 단지 종합대학 지위를 얻기 위해 중문과를 개설할 뿐으로, 이 학과 학생들은 졸업과 동시에 반 실업자 상태가 된다.
중국 중문과 졸업 여학생들은 얼굴이 예쁘면 비서가 되고, 얼굴은 못 생겼으나 목소리가 예쁘다면 전화교환원이 된다. 얼굴도 별로고 목소리도 별로지만 글재주라도 있으면 편집자가 된다. 이도 저도 안되면 여급이나 도우미로 전락. 젊었을 때 잠깐 돈 버는 전형적인 학과.
7위 공공사업관리학과
왜 이 학과가 비전이 없느냐, 중국에는 도무지 관리가 필요한 공공사업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니 매년 공공사업관리학과를 졸업하는 수 만의 대학생들이 99% 졸업 후 전공을 바꾼다. 졸업 후 양식장에서 일하는 케이스도 있다.
6위 사학과
사학과의 졸업 후 진로는 연구와 선생님 딱 두 종류이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요즘 어디에 연구직이나 교사직이 남아도나. 대부분 졸업생들은 프론트 직원, 기업체 전화교환원, 비서 등을 전전한다. 중국 최고의 난징대 사학과 학생들조차도 대학 간판을 살리면서 어떻게 다른 학위나 직장을 구할 수 있을 지만을 고민 중.
5위 화공과
중국의 거의 모든 이공대에 있는 학과다. 화공과 졸업생의 수요도 많은 편이지만 문제는 연봉 및 대우가 밑바닥 수준이라는 점. 근무 환경도 열악하기로 유명하다. 공장 취직 졸업생들은 생산 라인에서 꼼짝없이 3교대로 육체노동을 해야 한다. 또한 중국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저장대학 화공과 석박사 연구생들의 평균 월급은 3000위안에 불과하다고 한다.
4위 피혁학과
피혁관련 산업 종사자는 암 발생 확률이 상당히 높다. 피혁 가공에 뗄 수 없는 각종 화학약품들이 암 발병의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 졸업 후 공장에 취직해도 받을 수 있는 월급은 심하게는 300위안 수준이다.
3위 제지학과
이 전공을 선택했다는 말은 편리하고 화려한 도시생활과는 영원히 안녕하였음을 뜻한다. 1년 365일 뜨겁고 냄새 나고 오염까지 심각한 제지공장에서 장기간 일하다가는 청력 및 신경계통에 심각한 손상을 입기 쉽다. 제지업의 수익률이 높지만 사장님 사정일 뿐, 일반 근로자의 급여 수준은 여전히 낮다. 중국 고3 학생들이 여간 해서는 선택하지 않는 학과이며, 졸업생들도 대부분 업종을 전향한다.
2위 채광공정과
석탄을 캐보지 않았다면 지금 자기 직장에 백 번 감사해야 한다.
1위 광업가공공정과
이름만 들어도 무시무시한 학과. 위험을 즐기며 도전정신이 투철한 자만 지원하도록.
'알아두면 좋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기한 숫자 (0) | 2009.04.04 |
---|---|
중국의 황당 법규, 규칙 (0) | 2009.04.04 |
*** 죽는 극히 "위험"한 행동 *** (0) | 2009.04.04 |
진짜일까? (0) | 2009.04.04 |
나이 호칭법 (0) | 2009.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