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시대의 부녀자 인신매매
"…사람이 사람의 고깃덩어리를 사고파는 악마의 무리를 세상에서 어찌할 것인가. 듣기에도 지긋지긋하게 소름이 끼치는 간악무도한 인육매매의 소리는 양심이 무딜 대로 무디어진 제아무리 모진 현대 인생으로도 가슴이 막히며 뼈가 저림을 금할 수 없다."
특히 1924년은 10년 만에 닥친 흉년이었다. 본지 사회부 신일용(辛日鎔) 김달진(金達鎭) 기자 등은 기근 현장을 찾아 전국을 돌며 초근목피로 연명하는 농촌 궁핍상을 전했다. 신 기자는 10월 23일자 '전율할 인육시장' 제하의 기사에서, "전북에서 인구 제3의 도시 이리가 매음녀의 수효로는 제일"이라고 밝히고, "기근에 쫓긴 촌가의 여자들이 악마 같은 마수에 걸려 이 저주할 인육시장을 더욱 번창하게 한다"고 개탄했다.
1924년 9월 26일자 본지의‘인육시장 탐방기’

조직적인 인신매매범들은 부녀자를 유인·납치해 만주나 상해, 일본 등에 팔아넘기기도 했다. 인천에선 조선여자 수십 명을 중국에 팔려던 '마굴'이 폭로되기도 했다.(1924년 9월 24일자) 이처럼
국제 인신매매가 성행한 것은 "밥값 몇십원과 소개료만 들인 헐값으로 데려만 가면 천원 이상에도 팔 수 있는 '폭리'" 때문이었다.(1924년
9월 26일자)
조직적 인신매매도 성행했지만 가난이나 치부의 수단으로 자기 자식이나 누이를 팔아먹는 일, 이른바 '매끽(賣喫)'도
흔했다. 깊은 남아선호 사상과 가난 때문에 여자를 '물건'처럼 취급한 것이다. "40원에 누이동생을 매끽"(1921년 6월 13일자),"십년
동거한 본처를 두 집에 팔아"(1921년 6월 24일자) 같은 기사들이 비일비재했다. 심지어 '부자가 되려는' 시어머니가 "며느리 얼굴이 어여뻐
촌살림은 못하겠으니 음식점에 팔겠다"고 나선 경우도 있었다.(1921년 9월 28일자)
가장 악질적인 경우는 고리대금업자의
인신매매였다. 조선일보 1938년 10월 11일자는 수십년 동안 고리대금업을 하면서 "용자의 등살을 훌터먹고, 대부금 회수를 위해 채무자의 딸과
아내를 유곽에 판 '악착한 사회악'을 계속한" 업자의 비인도적 죄상을 폭로하고 있다.
인신매매는 광복 직후 1946년 미군정청이
'부녀자의 매매 또는 그 매매계약의 금지'를 규정한 법령 70호를 제정, 공포하면서 법적으로 금지됐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알아두면 좋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픈 여인의 고백 (0) | 2015.05.22 |
---|---|
시베리아 지옥의 진실 (0) | 2015.05.22 |
나라별 군대 계급장 (0) | 2015.05.11 |
삼성전자 구내식당 (0) | 2015.05.11 |
세상에서 가장 잔인한 고문 (0) | 201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