淸難功臣
淸難功臣
(奮忠出氣合謀迪毅淸難功臣)
1596년(宣祖 29년)에 일어난 李夢鶴의 亂은 서얼 출신으로 부친으로부터 냉대를 받고 쫓겨나서 忠淸道 일대를 방랑하다 壬辰倭亂이 일어나자 민심이 朝廷으로부터 멀어진 것을 틈타 승려·奴婢 등을 규합하여 忠淸道 鴻山에서 亂을 일으켜 인근 5개 고을을 장악하고 한때 따르는 무리가 수천에 이르는 등 크게 세력을 떨쳤다. 그러나 官軍의 宣武 공작을 받은 부하에게 李夢鶴이 피살됨으로써 반란군은 와해되고 말았는데, 壬辰倭亂 당시 朝廷이 얼마나 민심을 잃고 있었는가를 보여 준 사건이라 할 만하다. 평정에 功을 세운 신료들에게 내린 勳號이다. 1604년(宣祖 37년)에 영의정 李恒福 등이 제안하여 유공자 5명을 3등으로 나누어 책록하였다.
1. 1등 奮忠出氣合謨迪義淸難功臣 (1명)
鴻州牧使 洪可臣 (寧原君)
2. 2등 奮忠出氣合謨淸難功臣 (2명)
全羅兵使 朴名賢 (延昌君), 忠淸水使 崔湖
3. 3등 奮忠出氣淸難功臣 (2명)
禮曹判書 辛景行, 慶尙右兵使 林得義
4. 淸難原從功臣 (955명)
1605년 책록
臨海君 等
5. 포상
. 이들 18인 모두에 상응한 官爵과 特典을 내리고 君으로 봉하였음
1등 공신 : . 본인과 부모, 처자에게 3階를 올려주고, 아들이 없으면 조카, 사위에게 2階를 올려줌
嫡長에게는 그 祿을 세습하게 함
. 功臣田 150結, 奴婢 30口, 伴倘 10人, 丘史 7人, 銀子 10냥, 內廐馬 1匹
2등 공신 : . 본인과 부모, 처자에게 2階를 올려주고, 아들이 없으면 조카, 사위에게 1階를 올려줌
嫡長에게는 그 祿을 세습하게 함
. 功臣田 80結, 奴婢 9口, 伴倘 6人, 丘史 4人, 銀子 7냥, 內廐馬 1匹
3등 공신 : . 본인과 부모, 처자에게 1階를 올려주고, 아들이 없으면 조카, 사위에게 加階를 올려줌
嫡長에게는 그 祿을 세습하게 함
. 功臣田 60結, 奴婢 7口, 伴倘 4人, 丘史 2人, 銀子 5냥, 內廐馬 1匹